타고나길 비만? ‘살 잘 빠지는 체질’로 바꾸는 방법
중장년층은 20~30대와 몸 상태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체중 감량을 위해선 몸 상태에 맞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40세가 넘으면 이전과 같은 양의 식사를 해도 살이 더 잘 찐다. 기초대사량이 줄어 같은 열량을 섭취해도 소비되고 남는 게 더 많기 때문이다. 20대 여성이 하루에 쓰는 열량은 평균 2000㎉인 반면 40~50대에는 1800㎉로 떨어진다. 여기에는 성호르몬이 영향을 끼친다. 성호르몬은 몸에 지방이 쌓이지 않도록 작용하는데, 40대 후반 이후 호르몬 분비량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살이 찌는 체질이 된다. 근육 합성을 촉진하는 성장호르몬은 덜 분비되고, 근육 신경이 퇴화하는 것도 문제다. 운동을 해도 20~30대보다 효과를 크게 보기 어렵다.
운동·식이조절 필수
살이 잘 빠지는 체질로 돌아가려면 먼저 운동과 식시조절은 필수다. 운동은 약한 강도로 자주 해야 한다. 중장년층은 활동량도 적고, 골다공증·당뇨병 등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무작정 운동하면 심폐기능·혈압·혈당·관절기능 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매일 약간 땀이 날 정도로 걷거나, 운동 기구를 이용해 10~20분 운동하는 게 적당하다. 버스나 지하철을 탈 때는 가급적 서고,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해 열량을 틈틈이 소모해야 한다.
음식 섭취량은 이전보다 500㎉ 정도 줄이고, 근육량 유지를 위해 단백질이 많이 든 콩, 두부, 살코기 등을 챙겨 먹는 게 좋다. 1일 단백질 섭취량은 고기를 기준으로 체중 1㎏ 당 0.8~1g(체중 60㎏일 때 48~60g)이 적당하다.
하루 6~8시간 푹 자야
하루 6~8시간씩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스트레칭만 해도 에너지를 잘 태우는 체질이 될 수 있다. 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되는 자정~새벽 2시에 숙면을 취하는 게 중요하다. 숙면 후 아침에 스트레칭을 하면 산소가 뇌와 말초조직에 골고루 전달되고, 근육과 내장기관의 움직임이 활성화돼 대사가 활발해진다.
체온 높이려는 노력도
체온을 높이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체온이 1도 올라가면 몸의 생화학적 반응이 10% 정도 높아져 대사가 활발해지고, 혈액순환이 잘 되면 체지방 분해가 빠르게 이뤄진다. 하루 20~30분간 일광욕하고, 반신욕이나 족욕을 매일 15분씩 하면 좋다.
헬스조선 한희준기자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4101801630
타고나길 비만? ‘살 잘 빠지는 체질’로 바꾸는 방법
유재석 돌직구, 하체운동의 꽃 스쿼트 ‘어떻게' 하지?
m.health.chosun.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탈달러 하는 나라엔 100% 관세…미국과 사업 못 해” (15) | 2024.09.09 |
---|---|
9월 수능 모평, 이의신청 123건…"국어 24번 오류 아닌가요" (5) | 2024.09.09 |
아빠 위해 중학생이 개발한 ‘기름만 남고 물 빠지는 국자’ (4) | 2024.09.09 |
김동연 "하늘이 13조 안줘…전국민 25만원 주면 다른 모든 사업 포기" (3) | 2024.09.09 |
오늘밤 가장 크고 밝은 토성…내년 고리 없어지기 전 보세요 [아하! 우주] (3) | 2024.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