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월 11일 MBC뉴스투데이 오늘 꼭 알아야 할 경제소식 세가지
[뉴스투데이]
오늘 꼭 알아야 할 경제 소식 세 가지.
세 가지 경제 지금 시작하겠습니다.
첫 번째 소식 보겠습니다.
역대 최대 네모 수출 이렇게 나와 있네요.
어떤 수출이 많이 늘었을까요?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이스크림 수출이 늘고 있다, 이런 소식이죠?
네 지금 세계에서 우리 아이스크림에 대한 인기가 늘면서 이른바 K-아이스크림 수출이 크게 늘었다는 보도가 어제 나왔습니다.
맞습니다. 12월 수치를 합산을 해봐야겠지만 지금 추세로 되면 1억 달러의 수출 금액을 달성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우리 돈으로 거의 1,300억 원을 넘어서는 돈이거든요. 실제로 아이스크림 수출이 어떻게 늘고 있는지 표를 보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지난 코로나 이전 시기 때만 해도 5,000만 달러대의 수출 금액을 보였는데요. 꾸준히 느는 게 보이시죠. 그러고는 지난해 11월까지 기준으로 했을 때 거의 9000만 달러. 12월 통계를 합치면 '거의 1억 달러에 육박할 거다.' 이런 분석이 나온 겁니다.
맞습니다. 아이스크림은 금방 녹기 때문에 굉장히 수출하기 어려운 제품으로 까다로운 제품으로 알려져 있거든요. 하지만 최근에 콜드체인, 그러니까 저온유통시스템이 발달하면서 K-푸드 열풍을 타고 아이스크림 수출액이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유통망, 그러니까 편의점이랄지 또 마트 체인 같은 것들이 해외로 진출하면서 이런 유통망과 함께 우리의 아이스크림도 함께 수출이 늘었다. 이런 분석도 함께 나오고 있습니다.
다음 소식 가보겠습니다. 20대보다 많은 네모인데요.
어떤 게 더 많은지 한번 보겠습니다. 20대보다 많은 70대 이렇게 나와 있네요.
인구 통계가 공개가 됐는데 사상 처음으로 70대 인구가 20대를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맞습니다. 인구 통계를 보면 아무래도 지금 고령화사회로 가는 흐름은 피할 수 없겠죠. 하지만 UN에서 지정한 초고령 사회는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비율이 20%를 넘어가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하거든요. 우리나라는 2025년이면 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이 됐습니다. 직접 인구 구성을 좀 보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지금 보면 우리나라 주민 등록 인구 현안인데요. 일단 50대 인구가 가장 많고요. 그 뒤를 40대와 60대가 이렇게 나란히 잇고 있는데 여기 그어진 이 파란 선을 유심히 보시면 20대와 70대가 연결이 되어 있는데 지금 70대가 미세하게 20대를 앞지른 걸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전체적인 그래프의 오른쪽 부분, 고령층이 두터워지는 움직임 계속 보이고 있습니다.
경제 활동을 왕성하게 하는 경제활동인구가 15세부터 만 64세까지거든요. 그런데 이런 생산 가능 인구도 굉장히 줄어드는,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올해부터는 특히 초등학생 수도 급감하게 되고요. 우리 사회 전반에 다양한 제도나 인프라들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 그런 시작을 알리는 통계가 이렇게 인구 현황을 통해서 드러났습니다.
마지막 소식 보겠습니다.
미국에서 사라지는 네모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미국에서 뭐가 사라지고 있을까요? 확인해 보죠.
중국산이 미국에서 사라지고 있다, 이런 소식이죠.
아무래도 중국이 세계의 공장이다 보니까 중국에서 만든 물건 안 쓰는 나라 찾기가 드물었고요. 실제로 또 많이 수입했고 미국도 예외가 아니었는데 이제 미국에서 사 오는 물건들을 쭉 봤더니 중국산의 비중이 점점 줄고 있다. 이런 분석이 나온 거죠?
맞습니다. 미국에서 특히 중국 제조업 생산품들을 굉장히 많이 구입을 했었거든요. 그런데 아무래도 미중 무역 갈등, 정치갈등이 겹치면서 중국이 17년 만에 1위 수출국을 멕시코에 양보하게 됐다는 소식이 나온 겁니다. 그런데 이런 미중 갈등, 무역 갈등으로 인한 영향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거든요. 우리나라의 수출이 어디로 향하는지 비중을 좀 보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 수출 현황인데요. 사실 2020년까지만 해도 우리가 파는 물건의 한 4개 중 1개. 25% 이상이 다 중국으로 가는 물건이었습니다. 그런데 중국으로 가는 수출 비중이 점점 줄어드는 모습 보실 수 있고요. 반면에 미국으로 나가는 물건의 비중은 점점 늘어서 지금 지난해 기준으로는 중국과 미국이 그래프가 거의 만나는 수준까지 지금 좁혀진 상황을 볼 수 있습니다.
맞습니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는 이게 역전이 됐거든요. 그런데 실제로 아까 멕시코 이야기도 드렸습니다만 미국을 중심으로 해서 이 우방국들을 중심으로 하는 '프랜드쇼어링' 현상이 심화됐다는 분석도 함께 나오고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까 공급망 재편에 따른 물가 인상 우려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세 가지 경제 소식 살펴봤고요.
지금까지 세 가지 경제였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염규현(email@mbc.co.kr), 양효걸(amadeus@mbc.co.kr)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와 야근으로 인해 점점 살이 찌는 이유 (100) | 2024.01.16 |
---|---|
살찔 염려도 없고…먹어서 스트레스 푸는 데 좋은 음식 (36) | 2024.01.11 |
2024년 1월10일 MBC뉴스투데이 오늘 꼭 알아야 할 경제 소식 세가지 (40) | 2024.01.10 |
2024년 1월 9일 MBC뉴스투데이 오늘 꼭 알아야 할 경제 소식 세 가지 (104) | 2024.01.09 |
고혈압 당뇨병처럼 일찍 알아채기 힘든 질환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 (32) | 2024.01.09 |